의료상담
제목 | 변비 | 이름 | 000 | ||
날짜 | 2009.04.30 | 조회수 | 2378 | ||
확인 | 완료 | ||||
내용 | 안녕하세요. 변비관련해서 여쭤봅니다. 변은 일주일에 2~3번 보구 있습니다. 변은 묽거나 딱딱하지않고 걸죽한편이구요. 양은적을때가 대부분이고 가끔 좀더 나오지만, 많은양은아닙니다. 항상 변을 봐도 잔변감이 있어서 불쾌합니다. 현재 차전피차들어가있는 변비도움식품(화이바웰)을 먹고 있습니다. 화이바웰을 안먹으면 아마 일주일에 2~3번보기도 힘들꺼 같구요...(변이 소량씩만나옵니다.) 제소견이지만.... 몇일전에 변보기가 힘들어서 손가락을 항문에 넣어봤는데 직장의 살들이 중첩되어있는거같은 느낌이들고 변을 볼때 나 방귀가 나올때 직장부분에서 좀 막히는 느낌이 들어서 직장폐쇄형이나 직장항문중첩증?? 인것도 같아보입니다... 참고로 3년전쯤에 강남에서 대장내시경검사를 해봤는데, 아무이상없다고 그러네요. 인터넷에서 보니까 바이오피드백 하면 대부분의 변비환자 가 낫는다고 하는데 맞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답변 | 질문 감사합니다. 상쾌한 장문외과입니다. 먼저 변비의 정의를 보면 1. 1주에 2회미만 배변하거나 2. 하루에 본 대변의 양이 35g이하(보통은 200g 이상) 3. 배변시 심하게 힘을 주는 경우가 25%이상일때 4. 대변이 딱딱하게 굳어나오는 경우가 25%이상이고 5. 배변후에도 잔변감을 느끼는 경우가 25%이상일때. 위 5가지 증상중에서 2가지이상이 해당되는 것이 3개월이상 지속되면 만성변비라고 진단합니다. 만성변비에는 장기능이 저하되어 생긴 기능성 변비와 원인질환이 있어 발생하는 기질성 변비가 있습니다. 먼저 기능성 변비에는 원인에 따라 장의 연동운동이 약해서 변을 내려보내는 힘이 약해저 생긴 이완성 변비- 이는 고령자나 출산이 많은 여성에 많음, 변이 배출되는 기능에 이상이 생긴 출구폐쇄형번비-직장탈출증,직장벽이완,항문반사운동이상,치핵 등, 그리고 이완성 변비와는 반대로 장의 연동운동이 너무 지나쳐 장이 경련을 일으켜 변이 통과하기 어려운 때 즉 과만성 대장증후군일 때 생깁니다. 질병성 변비의 경우는 당뇨, 갑상선 기능장애등과 같이 내분비 대사장애시 장운동장애로 변비가 발생하거나, 신경조직의 장애, 근육기능약화, 그리고 대장암, 장협착증, 궤양성 대장염, 과민성 대장, 선천성 거대결장 등과 같이 장관폐쇄 가 있을 때 변비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일반적인 원인으로 변비가 발생하는데 1. 화상실 가고 싶은 걸 참고 변의를 묵살하는 경우 2. 아침식사를 안하는 경우- 위대장반사운동이 일어나지 않아 아침에 배변을 못함. 3.식이섬유의 부족-야채와 곡물의 섭취량이 많아서 변의 양이 많아져 배변이 용이해짐. 4. 수분부족 5. 심리적 요인-대장운동은 자율신경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감정과 밀접한 관계를 갖습니다. 따라서 여행할 때, 직장을 옮길 때, 가족간의 불화,근심걱정 증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긴장이 생기면 자율신경의 부조화로 대장운동의 리듬이 깨져 변비가 생깁니다. 6. 여성호르몬-생리시 황체호르몬의 영향으로 변비발생. 7. 운동부족-운동이 부족하면 장의 연동운동이 감소하고 복부근육이 약해서 배변시 배에 힘을 주어 변을 내보내는 힘이 약해집니다. 8. 고령자-나이가 많아지면 근육이나 신경이 약해져 대장의 활동도 약해집니다. 따라서 변비의 치료는 위와 같은 원인을 모두 제거하면 해결이 가능합니다. 바이오피드백은 항문괄약근의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여 항문에 힘을 주는 것을 강화시켜 배변을 부드럽게 도와주는 치료방법으로 변비를 치료하는 방법중에 하나이지만 먼저 다른 원인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관련된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먼저인것 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