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상담
제목 | 극심한 변비 | 이름 | 배정미 | ||
날짜 | 2011.07.29 | 조회수 | 4494 | ||
확인 | 완료 | ||||
내용 | 만성변비를 오래도록 극심하게 앓고있는 만 41세 여성입니다. 제 증세를 말씀드리면 어릴때도 간혹 변비가 있었고 고등학교때도 변비가 심했고(20년도 넘었습니다) 대학때만 그나마 조금 괜찮다가 제가 직장생활을 시작한 25세(17년전)때부터 다시 변비가 심해서 28세때는 배가 너무 아파 병원에 갔더니 변을 보지 못해 배가 아픈거라 하여 병원에서 물을 주입하여 변을 빼내는 장청소를 실시했으나 다른 사람의 경우 40분이면 끝나는데 저는 40분이 되어도 전혀 변이 나오지를 않아 의사선생님도 놀라시기도 하였습니다. 장 내시경 검사도 해보았으나 이상이 없다고 하여 그냥 만성 변비거니하며 지냈습니다. (참, 1986년도에 치루수술을 한 경험도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전부터 변비에 시달리며 만성변비거니하면서 약으로, 민간요법으로 견뎌왔습니다. 쾌변요구르트를 하루에 4개씩 몇달을 먹어보기도 하고 양파, 야콘, 고구마식단, 건자두, 푸른주스, 현미김치(현미발효식품), 차전자피환, 부추환 등 여러 가지 각종 환등과 다른 사람들이 효과 보았다는 민간요법은 안해본것이 없는데 어떤 것은 처음에만 듣고 몇일 지나면 다시 별 반응이 없고 이제는 아락실 같은 변비약은 몇일을 먹어도 잘 안듣고... 한약은 먹을때만 조금듣고 먹고나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고...이제는 시도를 해보는 것도 지칩니다. 심지어는 일부러 상한 우유도 마셔보고 상한 음식도 먹어보고 했는데 전혀 제 속에선 꼼짝을 않더라구요. 차게 먹으면 배가 아플까해서 차가운 음식을 한꺼번에 먹어보기도 했으나 소용없구요.(평소에는 속이 차가우면 변비가 더 심해진다는 말을 들어서 그런지 한여름에도 어지간해서는 따뜻한 차나 물만 마신답니다. 음식도 왠만하면 차가운건 피하려고 하구요). 그렇다고 운동을 안하는 것도 아니고 4년째 거의 매일 하루도 안빠지고 수영을 해왔는데 변비에 도움이 되지 않아 중간에 줄넘기 걷기 달리기 등등 간간히 추가해서 운동을 해도 안되고 하여 혹시 몸이 차가워서 그런가싶어 몸을 따뜻하게 하는 핫요가를 한달전부터 시작하여 하루도 빠지지 않고 열심히 운동하고 있으며 어떨때는 아침에는 수영 저녁에는 요가, 혹은 아침저녁으로 요가 등 운동에 시간을 많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변비개선은 전혀 되지 않는군요. 주변에서 먹는 양이 작아서 변비일수도 있다고 하여 양을 늘려봤는데 소화가 잘 안되고 살만찌고 위만 늘어나고 변비는 여전히 저를 괴롭힙니다. 저는 주로 채소, 과일을 좋아하고 고기류는 그리 좋아하지도 많이 먹지도 않는 편이며 고기대신 생선을 주로 먹습니다. 음료수는 전혀 마시지 않으며 물도 많이 마시라고 하여 남들 마시는 만큼은 마시고 커피는 하루에 2잔내지 3잔정도 마시는 편이구요.(커피도 안마셔보기도 했지만 결과는 똑같에서 좋아하는 커피는 계속 마십니다) 먹는 음식을 봐서도 주변에서는 변비인게 이해가 안간다고 하네요. 정말 미칠지경입니다. 요즘의 증세를 말씀드리면 속은 항상 불편하고 가스가 차있는 경우가 많고 화장실가고 싶어 가도 소식은 없고(가고싶다는 생각이 들때가 요즘은 그리 많지도않습니다) 오래앉아 있어도 전혀 소식이 없다가 어쩌다가 20~30분정도 힘을 쓰다보면 염소똥처럼 동그란 작은 덩어리 1~2개정도 보일뿐이고...심지어 피만 나오기도 하고... 몇주째 평일에는 전혀 볼일을 못보고 주말되면 "포죽엽"이라는 가루(미국에서 가져온겁니다)를 먹으면 6시간내지 12시간후에(상태에 따라 6시간후에 반응이 나타나기도 하고 10시간후에 배가 아프기도 하고) 속이 미싯거리면서 배도 아프면서 변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처음에는 딱딱하고 마른 변이 나오고 몇차례 걸쳐 화장실가다보면 마른변이 다 빠지고 나면 설사같은 묽은 변이 나와 장이 다 비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러고 나면 또 변비가 시작되어 몇일 동안 변을 전혀 볼 수가 없고 변을 보고싶어 화장실을 가면 가스만 나오던가 아니면 힘만빼고 나오는 경우가 다반사고 어쩌다가 힘을 쓰면 염소똥 같이 한두개 나오고 말고 한답니다. 그래서 요즘은 아애 화장실을 갈 생각도 안한답니다. 아침에 조금 앉아 있어보지만 별로 효과가 없어요. 비데를 사용한지도 6년정도 되어 가는데 한동안은 비데의 도움을 받기도 했는데 요즘은 비데도 별로 소용이 없네요. 그렇다보니 시간낭비라는 생각과 힘만 빼는 것 같아 왠만해선 화장실가는 시도도 하기 싫어지는 심각한 상태까지 이르렀네요. 그리고, 치질도 있어 어렵게 변을 볼때는 피도 보인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너무 길게 제 하소연을 하여 죄송합니다. 변비 때문에 내과에서 몇 번 상담을 해보긴 했는데 음식조절과 운동, 스트레스등에 관한 얘기만해서 병원가도 별 수없다고 생각했는데 변비항문외과쪽으로 상담을 해볼 생각은 미처 못했네요. 참고적으로 작년 10월쯤인가 정기 건강검진때 위내시경하면서 장내시경을 같이 검사했는데 크게 이상이 없다고 하더군요. 도대체 원인이 뭔지 치료는 가능한지 정말 답답합니다. 속이 편치않으니 컨디션도 안좋고 머리는 내내아프고 속이 더부룩하고 가스차고 먹는것도 걱정되고 살도 안빠지고... 암튼, 변비해결된다면 정말정말 살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변비가 하도 심하여 장에 암이나 다른 질환이 생기면 어떻게 하나 하는 우려가 많이 됩니다. 긴 내용으로 상담을 드려 너무 죄송합니다만 제발 도움을 주셨으면 좋겠네요. |
||||
답변 | 질문 감사합니다. 상쾌한 장문외과입니다. 문의하신 분의 경우에는 단순한 일과성 변비가 아닌 만성변비로 만성변비에는 장기능이 저하되어 생긴 기능성 변비와 원인이 되는 질병에 의한 기질성 변비가 있습니다. 먼저 기능성 변비에는 장기능이 어떤 원인으로 저하되었기 때문에 생기며 그 원인에 따라 이완성변비, 경련성변비, 작장항문형변비 3가지로 분류합니다. 이완성 변비는 장무력증으로 장의 연동운동이 약해서 대변을 내보내는 힘이 약해져서 생기며 고령자나 대장이 길고 늘어진 사람, 여성이 출산을 반복하여 복근이 이완되었을 때 잘 생깁니다. 직장항문형변비는 출구폐쇄형으로 변이 배출되는 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생기며 직장탈출증, 직장벽이 늘어나 발생한 직장류, 직장항문반사운동의 이상이 있을 때, 치핵과 같은 항문질환이 있을 때 생깁니다. 경련성변비는 이완성변비와는 반대로 장의 연동운동이 지나쳐서 장이 경련을 일으켜 변이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며 과민성대장증후군에서 생깁니다. 다음에 질병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변비는 크게 4가지로 나뉘어집니다. 대사 및 내분비장애 : 당뇨, 갑상선기능장애,요독증, 저칼륨증, 고칼슘증과 같은 질환이 있으면 장운동장애를 초해하여 변비가 생깁니다. 신경조직 장애 : 장근육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조직의 장애로 장운동장애나 항문괄약근 조절기능 이상을 초래하여 변비가 생깁니다. 근육기능 약화 : 대변을 보는 데는 복압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복벽운동 장애, 배의 근육약화 가 있을 때 변비가 생깁니다. 장관 폐쇄 : 대장암, 장협착증, 궤양성 대장염, 선천성 거대결장 등과 같은 질환이 있을 때 변비가 옵니다. 따라서 문의하신 분의 경우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변비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변비치료에 관한한 대부분을 시행해 보셨지만 좋은 결과를 보지 못한 경우는 변비의 원인이 해결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진단을 위한 항문직장 기능 검사로는 항문직장 내압검사 : 배변의 기본은 직장의 압력이 항문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항문이 열리면서 대변이 나오게 되므로 압력을 측정하여 배변을 시도할 때 항문의 압력이 직장에 비하여 떨어지는 가를 측정하여 직장의 감각예민도와 직장의 탄력성을 측정하게 됩니다. 베변조영술 : 이는 인공변을 만들어 항문에 주입후 변을 보게 하면서 엑스선으로 보는 방법으로 배변기능이 의심되는 경우 즉, 불완전한 장중첩, 직장류, 골반의 과긴장, 변실금 등을 확인하는데 유용합니다. 대장통과시간 : 이는 방사선상에서 보이는 약물을 먹은 후 항문으로 배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완성, 경련성, 직장형 등을 측정하게 됩니다. 이와같은 검사를 시행하여 변비의 원인을 측정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하신 분의 경우처럼 오랜기간동안 변비로 고생하신 분의 경우는 대부분이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서 변비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인의 몸에 어떤 질환이 있는지 여부을 알기위한 종합검사와 기능을 보기 위한 검사등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검사장비나 사용 약물등의 한계로 인해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급의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