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상담/예약
  • >
  • 의료상담

의료상담

상쾌한당신의 아침을 위해 상쾌한장문외과가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의료상담

 

제목 선생님! 제 변비 낳을 방법이 없을 까요 이름 김민지
날짜 2001.02.09 조회수 2539
확인  완료 
내용 김 영선 선생님 ! 안녕하세요.
제 변비는 10년 이상 되었는데, 현재는 너무나 심한 변비 때문에
생활이 너무나 힘든 상태 입니다.

약 3년 정도 대장항문과 치료를 받기도 했었는데. 별다른 차도가 없
습니다.

장 내시경 검사을 받은 적이 있는데 특별하게 안 좋은것은 없고
오래된 심한 변비로 인하여 장이 늘어나 있다고 병원에서 들었어요.
그 땐 단순히 장이 많이 늘어난 줄 만 알았었는데....
몇 달 전에 배변 조영술 검사를 받았는데...
제 항문이 이완과 수축을 적절히 하지 못해서 변비가 심하다는 말씀을
하시더군요.
사실 그 검사 받을 때 인공 변을 하나도 넣지 못했었습니다.

현재는 심한 변비로 배는 항상 더부룩 하고 배가 전체적으로 둥글게
아주 많이 나왔있습니다.
그것 뿐만이 아닙니다.
화장실은 언제 갔었는지 기억에도 가물가물 하구요
배가 넘 아플 정도로 가스가 가득 차 있더라도 방귀를 끼지 못합니다.
금방이라도 나올 것 같은데... 그러질 못해요.
그리구 배에서 천둥소리 처럼 소리도 크게 나구요.
물이 졸졸 흐르는 소리도 나구요.
화장실에 오래 도록 가지 못했을 경우엔 더욱 심해져서 주위에 있는 사람
들이 그 소리를 모두 들을 정도 입니다.
혹시 배에서 천둥 소리 나 보셨습니까? 그 창피함이란 ....
그리구 1년에 4,5번 정도는 응급실에 가야 할 정도로 배가 많이 아픕니다.
사실 먹는 것만 보면 제가 변비인게 신기할 정도라고 주변 사람들이
말을 하거든요
전 주로 야채와 과일과 물을 많이 먹습니다.
운동은 거의 하지 않는 편이지만....
지금도 너무 배가 아파요.
가스가 가득차서 나무 막대기를 배에 넣은 것 처럼
꼿꼿하게 아프기도 하구요.
또 천둥소리와 물소리도 번갈아서 나구요
늘 항상 피곤하고 쉽게 지치기도 하고 속이 편할 날이 없습니다.
심할 때는 그냥 있어도 멀미를 하는 것 처럼 어지럽고 속도
불편합니다.
선생님!
제가 너무 장황하게 저의 증상을 말 한 것 같아 죄송합니다.
그 만큼 저에게는 변비를 낳고 싶은 절박함 뿐이랍니다.
전 제 변비 때문에 너무 무기력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꼬옥 변비를 고치고 싶어요.
수술을 해서라도 낳을 수만 있다면 하겠습니다.
꼼꼼하게 읽어주시고 최선의 답변해 주세요
그럼 많이 수고 하세요.
답변 질문 감사합니다.
김영선 항문외과의 김영선입니다.

만성적인 변비때문에 참으로 고생이 많으시군요. 만성변비에는 장기능이 저하되어 생긴
기능성 변비와 원인이 되는 병에 의해 생긴 기질성 변비가 있습니다.

기능성 변비란 장기능이 어떤 원인에 의해 저하되어 생깁니다. 그 원인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는데,
1)이완성 변비: 대장 무력증이라고도 하며 장의 연동운동이 약해서 대변을 내보내는 힘
이 약해져서 생기며 고령자나 대장이 길고 늘어진 사람이나 여성이 출산을 반복해서 복
근이 이완되었을 때 잘 생깁니다.

2)직장항문형변비: 출구 폐쇄형이라고도 하며 변이 배출되는 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생
기며 직장 탈출증, 직장벽 이완증, 골반저 하강증이 있을때 생깁니다.

3) 경련성 변비: 이완성변비와는 반대로 장의 연동 운동이 지나쳐서 장이 경련을 일으
켜 변이 통과하기 어려울 때 생깁니다. 주로 과민성 대장증후군일 때 생깁니다.

질병성 변비란 질병이 원인이 되는 경우로 대사 및 내분비 장애, 신경조직 장애, 근육기
능 약화. 장관폐쇄등의 병이 있을 때 오는 변비를 말합니다.

문의하신 분의 경우 이완성변비 혹은 직장항문형 변비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나이, 신
장, 몸무게등을 고려해 볼 때 본인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면 치료가 가능하리라 봅니
다.

치료는 적극적이고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하며 식생활습관은 비교적 양호한 듯하며 물을
많이 마시고 감, 담배, 많은 양의 술, 고추등의 향신료, 진한 조미료, 커피, 홍차, 진
한 녹차등 카페인이 많은 차, 단 음식등을 삼가합니다.

그리고 적당한 신체적인 운동과 체조 또는 복부 마사지등을 하면 장의 연동운동이 활발
해져 대변 배출이 용이 해집니다. 그외 약물을 당분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서 괄약근의
이완, 수축, 힘을 주는 운동을 반복하여 훈련시켜 배변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합니다.
이 모든 것들이 본인의 지속적인 노력이 있어야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