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상담
제목 | 변비의 종류에 대하여 알고싶습니다. | 이름 | 심회녀 | ||
날짜 | 2001.10.26 | 조회수 | 2551 | ||
확인 | 완료 | ||||
내용 |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신지로이드를 하루 2정씩 복용하고 있으며 , 생리량이 많아 서 빈혈약을 조금씩 복용하고 있습니다. 변비를 탈출하기 위해 식이요법, 운동등을 병행하고 있으나 호전되지 않고있습니 다. 여러가지 변비의 종류중 어떤 상태인지, 그리고 호전될수 있는 방법으로 어떤것들 이 있는지요? 참고로 변은 하루에 한번식 보지만 변의량이 많지않으며 시원한 느낌이 없습니다. 이렇게 일주일 정도 참다가 한번씩 변비약을 먹기도 합니다. 물론 신경도 조금 예민한 편이고요 |
||||
답변 | 질문 감사합니다. 김영선 항문외과의 김영선입니다. 변비란 장내에 대변이 비정상적으로 오래 머물러 있는 상태로 이를 정의하기는 어렵지 만 대체로 1주에 2번미만 변을 보거나, 하루에 35 g 이하의 변을 보거나, 변볼때 심하 게 힘을 주어야 하는 경우, 딱딱한 변을 보는 경우, 변을 본후에도 잔변감이 남아있는 경우 등의 증상이 2가지 이상이 3개월이상 지속될 때 만성변비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변비의 종류는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급성변비와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만성변비가 있 으며 급성에도 일과성과 질병성이 있습니다. 일과성 단순변비는 식사양이 적거나, 수분섭취가 적거나, 여성의 경우 임신을 하였거나 생리전에 호르몬의 영향으로 변비가 오며 여행을 하거나 생활환경이 바뀌었을 때, 스트 레슬 받거나 운동부족일 때 발생하는 변비로 이는 원인을 제거하면 해결됩니다. 질병성 은 장유착이나 대장암등과 같은 병에 의해 장이 막힌 경우이고 심한 복통과 구토가 있 고 배가 불러집니다. 만성변비는 장기능이 저하되어 오는 기능성 변비와 원인이 되는 질병에 의한 기질성 변 비가 있습니다. 기능성 변비란 장기능이 어떤 원인으로 저하되어 오며 원인에 따라 다시 이완성,경련성, 직장항문형으로 나눌수 있으며 이완성은 장운동이 약해서 변을 내보내는 힘이 떨어져 생 기며 고령자, 여성이 출산을 반복해 복근이 이완된 경우에 잘 생깁니다.경련성은 이완성 과 반대로 장 운동이 지나쳐서 장이 경련을 일으켜 변이 통과하기 어려워 생기며 과민 성 대장증후군일 때 생기며 직장항문형은 출구가 폐쇄된 경우이며 직장탈출증, 골반하강 증, 직장항문반사운동 이상시에 잘생깁니다. 질병성은 대사 및 내분비장애시(당뇨, 갑상선 기능장애, 고칼슘증 등), 장근육에 분포 된 신경조직의 장애시, 복벽운동장애나 배의 근육약화가 있을 때, 변비가 발생할 수 있 습니다. 문의하신 분의 경우 갑상선기능장애로 인한 내분비 장애로 장운동의 장애가 와서 변비 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치료는 항상 규칙적인 식사가 중요합니다. 언제나 일정한 양의 식사를 일정한 시간에 드 시도록하고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시고 (특히 감자, 고구마,오이, 당근, 상추, 양배추 등) 과일도 자주 드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적당한 운동으로 가벼운 산책이나 등산,조깅, 줄넘기 등을 매일 같이 또는 규칙적으로 시행하시기 바랍니다. 곁들어서 팽창성 하제인 식이섬유를 같이 복용하시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변이 잘 나오더라도 8~12주 이상을 꾸준히 복용하신후 끊어야 장운동이 규칙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정신적인 요인 도 치료에 중요하니 항상 마음을 편하게 갖도록 노력하시고 스트레스는 그때 그때 바로 풀어버리는 게 좋습니다. |
||||